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OS
- 쓰레드 덤프
- cpu-bound
- 컨디션 변수
- Java
- SRTF
- 유저 쓰레드
- 자바
- Lock
- 레디스
- synchronizeation
- Mutual exclusion
- 커널모드
- 유저모드
- synchronous
- io-bound
- 스핀락
- 쓰레드
- 바이너리 세마포
- non-blocking
- #list
- 하드웨어 쓰레드
- 논블로킹
- CPU 스케줄러
- cpu
- 컨텍스트 스위칭
- 스케줄링
- os 쓰레드
- 페이지 테이블
- Webflux
목록non-blocking (2)
변수의 기록

Block I/O vs Non-block I/O (소켓 I/O 기반 설명)1. I/O란?I/O(Input/Output)는 데이터의 입출력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형태가 있습니다:네트워크 I/O (소켓): 네트워크 통신은 소켓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합니다.파일 I/O: 디스크에서 파일을 읽거나 쓰는 작업.파이프 I/O: 프로세스 간 통신.디바이스 I/O: 키보드 입력, 화면 출력 등 하드웨어 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소켓 I/O는 네트워크 프로그램에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이며, 클라이언트-서버 간 통신에 사용됩니다.2. Block I/O vs Non-block I/O🔸 Block I/O (Blocking I/O)I/O 요청을 하면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쓰레드는 대기(블로킹) 상태가 됩니다.예:..

2025년 4월 6일운영체제 bound 공부 CPU-bound vs IO-bound: 서버 성능 최적화를 위한 핵심 개념 정리웹 개발이나 서버 운영을 하다 보면 "CPU를 많이 쓰는 작업", "IO 때문에 느린 작업"이라는 표현을 자주 듣는다.이 글에서는 그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고, 시스템 설계나 튜닝 시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지 정리✅ CPU-bound와 IO-bound란? 구분CPU-boundIO-bound의미CPU 연산이 병목인 작업입출력(IO)이 병목인 작업예시영상 인코딩, 머신러닝, 압축웹서버, DB 조회, 파일 저장, 외부 API 호출병목 위치연산 처리 속도네트워크/디스크 응답 지연CPU 사용률높다낮고 대기가 많다IO 대기거의 없다많다 🔄 CPU Burst vs IO Burst✔️ Bu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