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pu (3)
변수의 기록

CPU 스케줄러와 디스패처, 그리고 스케줄링 알고리즘 총정리 CPU 스케줄러란?역할: CPU를 어떤 프로세스가 사용할지 선택동작: Ready 상태에 있는 프로세스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CPU에 할당대상: Ready Queue에 있는 프로세스들예: Ready Queue: P1, P2, P3 스케줄러가 P2를 선택 → 실행 준비 완료 디스패처(Dispatcher)란?역할: 스케줄러가 선택한 프로세스를 실제 CPU에 할당하고 실행세부 기능:컨텍스트 스위칭 수행사용자 모드로 전환 (커널 → 유저 모드)프로그램 카운터와 레지스터 설정예: P2를 스케줄러가 선택함 → 디스패처가 CPU에 할당 → P2 실행 시작 선점(Preemptive) vs 비선점(Non-Preemptive) 비선점 (Non-Preemp..

🔁 컨텍스트 스위칭의 개념과 구조📌 컨텍스트 스위칭이란?컨텍스트 스위칭(Context Switching)은 CPU가 현재 실행 중인 작업(프로세스 또는 스레드)을 중단하고, 다른 작업으로 전환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현재 작업의 상태(레지스터 값, 프로그램 카운터, 스택 포인터 등)를 저장하고, 다음 작업의 상태를 복원한다.컨텍스트 스위칭은 크게 두 종류로 나뉜다:프로세스 컨텍스트 스위칭스레드 컨텍스트 스위칭🧠 프로세스 컨텍스트 스위칭개념서로 다른 프로세스 간 전환주소 공간, 페이지 테이블, TLB, PCB 등이 모두 변경메모리 보호를 위해 각 프로세스는 독립된 가상 주소 공간을 가지므로 MMU와 협업이 필요동작 과정현재 프로세스의 PCB(Process Control Block) 저장다음 프로세..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에 대한 개념 및 동작 원리 정리2025년 04월 04일가상메모리 공부1. 가상 메모리의 개념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란, 운영체제가 물리적 메모리(RAM)의 용량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제공하는 논리적 메모리 공간이다. 이는 프로세스가 실제로는 물리 메모리에 존재하지 않더라도, 마치 자신만의 연속적인 메모리 공간을 갖는 것처럼 동작하도록 만들어준다. 가상 메모리는 각 프로세스에게 독립적인 주소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메모리 보호와 다중 프로세스 실행을 가능하게 한다.가상 메모리는 실제 메모리와 1:1로 대응하지 않으며, 일부 주소 영역은 실제 메모리에 존재하지 않고 디스크의 스왑(Swap) 공간에 저장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전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