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Java
- 유저 쓰레드
- 유저모드
- cpu
- CPU 스케줄러
- 쓰레드 덤프
- OS
- 컨텍스트 스위칭
- io-bound
- synchronizeation
- Lock
- #list
- 레디스
- 논블로킹
- 쓰레드
- os 쓰레드
- 커널모드
- cpu-bound
- 자바
- 페이지 테이블
- SRTF
- Webflux
- 컨디션 변수
- Mutual exclusion
- 스핀락
- 스케줄링
- non-blocking
- synchronous
- 바이너리 세마포
- 하드웨어 쓰레드
목록2025/04/15 (2)
변수의 기록

Thread Per Request vs Thread Pool 모델 정리1. Thread Per Request 모델서버에 요청이 들어올 때마다 새로운 스레드를 생성해 처리하고, 요청 처리가 끝나면 해당 스레드를 버리는 방식입니다. ⚠️ 문제점스레드 생성 비용: 스레드 생성과 소멸은 커널 개입이 필요한 작업으로 비용이 큽니다. (컨텍스트 구조 초기화, 스택 메모리 확보 등)요청 폭주 시 병목: 요청이 처리 속도보다 빠르게 들어올 경우, 새로운 스레드가 계속 생성되고 이로 인해 스레드 수 급증.컨텍스트 스위칭 빈도 증가 → CPU 오버헤드 발생메모리 고갈 가능성 → OutOfMemoryError 또는 서버 응답 불능예측 불가능성: 자원 소모가 요청 수에 비례하여 늘어나므로, 대량 요청에 대한 대비가 어렵다.2..
1. 커널이란 무엇인가?OS 안에 존재하는 놈이다. OS의 심장이자 가장 권한이 센 놈.우리가 흔히 말하는 "Linux", "Windows" 같은 건 운영체제 전체고,그 안에 있는 가장 중요한 핵심 부분이 커널(Kernel).즉, --> 커널 ⊂ OS 2. 커널은 어디서 돌아가나?→ 커널 모드(Kernel Mode)CPU에는 모드가 두 개 있음:유저 모드(User Mode): 우리가 평소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브라우저, 게임 등)커널 모드(Kernel Mode): 운영체제 커널, 드라이버, 시스템 콜 처리 등유저 모드에서는 메모리, 하드웨어, CPU 자원에 직접 접근 불가커널 모드에서만 직접 명령어 실행, 메모리 조작, I/O 제어 가능 3.커널이 하는 일 (진짜 중요함) 영역 역할프로세스/스레드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