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의 기록

(코테) 체육복_프로그래머스 (탐욕법) 본문

회고/코딩테스트

(코테) 체육복_프로그래머스 (탐욕법)

불광동 물주먹 2025. 5. 2. 13:42

 

 

문제 설명
점심시간에 도둑이 들어, 일부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당했습니다. 다행히 여벌 체육복이 있는 학생이 이들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려 합니다. 학생들의 번호는 체격 순으로 매겨져 있어, 바로 앞번호의 학생이나 바로 뒷번호의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4번 학생은 3번 학생이나 5번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체육복이 없으면 수업을 들을 수 없기 때문에 체육복을 적절히 빌려 최대한 많은 학생이 체육수업을 들어야 합니다.

전체 학생의 수 n, 체육복을 도난당한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 lost,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 reserve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는 학생의 최댓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전체 학생의 수는 2명 이상 30명 이하입니다.
체육복을 도난당한 학생의 수는 1명 이상 n명 이하이고 중복되는 번호는 없습니다.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의 수는 1명 이상 n명 이하이고 중복되는 번호는 없습니다.
여벌 체육복이 있는 학생만 다른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여벌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당했을 수 있습니다. 이때 이 학생은 체육복을 하나만 도난당했다고 가정하며, 남은 체육복이 하나이기에 다른 학생에게는 체육복을 빌려줄 수 없습니다.


입출력 예

n  lost  reserve  return
[2, 4]  [1, 3, 5]  5
[2, 4]  [3]  4
3  [3]  [1]  2


입출력 예 설명


예제 #1
1번 학생이 2번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주고, 3번 학생이나 5번 학생이 4번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면 학생 5명이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습니다.

예제 #2
3번 학생이 2번 학생이나 4번 학생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면 학생 4명이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습니다.

문제가 잘 안풀린다면😢

 

 

 

 

 

 

 

 

내가 제출한 답.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 int[] lost, int[] reserve) {        
        Map<Integer, Integer> result = new HashMap<>();
        int count = 0;    // 체육복 세팅된 학생 

        for(int i=1;  i<n+1 ;i++){
            result.put(i , 1);                           // 전체학생수 세팅
        }

        for(int res : reserve){
            result.put(res , result.getOrDefault(res, 2) + 1);   // 여벌 옷 가져온 사람 +1
        }

        for(int res : lost){
            result.put(res, result.getOrDefault(res, 0) - 1);        // 잃어버린 사람 -1 
        }

        for(int i=1;  i<n+1 ;i++){
            if(result.get(i) == 0){
                if(i>1 && result.get(i-1)==2){
                count++;
                result.put(i-1, result.get(i-1) - 1); 
                continue;
                }            
                if(i<n && result.get(i+1)==2){
                count++;
                result.put(i+1, result.get(i+1) - 1);
                continue;
                }
            }else if(result.get(i)>0){
                count++;
            }
        }

        return count;
    }
}

 

1. map에 전체 학생수 세팅 기본 value +1 

2. 도난 당한 학생 -1

3. 여분 옷 가져온 학생 +1

4. 전체 학생 앞 뒤 체크 후 옷 빌려주기.

 

 

 

 

Set을 사용한 다른 풀이.

import java.util.HashSet;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 int[] lost, int[] reserve) {
        int answer=n-lost.length;
        HashSet<Integer> ko = new HashSet<Integer>();
        for(int k : reserve) {
            ko.add(k);
        }
        for(int i =0;i<lost.length;i++) {
            if(ko.contains(lost[i])) {
                //System.out.println("내껀내가입지");
                answer++;
                ko.remove(lost[i]);
                lost[i]=-1;
            }
        }


        for(int i =0;i<lost.length;i++) {
            //System.out.println(i);

            if(ko.contains(lost[i]-1)) {
                //System.out.println("있다");
                answer++;
                ko.remove(lost[i]-1);
            }else if(ko.contains(lost[i]+1)) {
                //System.out.println("있다");
                answer++;
                ko.remove(lost[i]+1);
            }
            //System.out.println("없다");
        }


        return answer;
    }
}

 

1. 전체 학생수 -  잃어버린 학생수  =  안잃어버린 학생 체킹   answer 에 카운트

2.  set 객체에   여분 옷 가지고 온 학생 세팅 

3. 여분 옷 가지고 온사람에서 중에서 옷 하나 잃어버린 학생  answer 에 카운트 + 1   set 배열에서 삭제 (이제 여분 없으니)

4. 잃어버린 학생 배열에서 앞 뒤 사람  Set 배열(여분옷 가진 사람) 체킹  있으면 anwer ++  , set 객체에서 삭제

 

 

 

 

📝 회고 정리

✅ 내가 작성한 코드의 방식

  1. 전체 학생 수 기준 처리
    • HashMap에 전체 학생 번호(1~n)를 키로 초기화하고 기본 체육복 개수를 1로 설정.
    • 도난당한 학생은 -1, 여벌 체육복을 가진 학생은 +1 처리.
  2. 모든 학생 순회
    • 모든 학생을 순회하며 체육복이 없는 경우, 앞번호 혹은 뒷번호 학생이 여벌을 가진 경우를 찾아 체육복을 빌려줌.

✅ 개선된 코드의 방식

  • 불필요한 반복 제거
    • 전체 학생을 기준으로 하지 않고, lost와 reserve 배열을 중심으로만 로직을 구성.
    • 여벌이 있지만 도난도 당한 학생은 먼저 걸러내고, 남은 경우에만 앞뒤로 빌려줌.
  • 자료구조 활용 최적화
    • HashSet을 사용하여 존재 여부 확인을 빠르게 처리함 (O(1)).

✅ 긍정적인 회고

  • 기존의 HashMap 기반 접근도 이전 경험을 응용해 문제를 해결한 점은 의미 있음.
  • 비록 최적의 코드까지는 아니었지만, 더 나은 코드를 보고 개선 방향을 찾았다는 점에서 큰 성과.
  • Set을 이용한 구조의 장점을 이해했고, 추후 더 효율적인 코드로 발전시킬 수 있다는 자신감과 희망이 생김.

📌 앞으로의 개선 방향

  • 문제의 핵심을 파악하고, 불필요한 연산 줄이기에 집중하기.
  • 전체 데이터를 모두 돌 필요가 없다면, 문제 조건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만 필터링해서 처리하기.
  • Map, Set 같은 자료구조의 목적과 특성을 더 적극적으로 활용해보기.

.